젠슨 황 엔비디아 CEO가 미국의 대중국 반도체 수출 통제 정책을 정면으로 비판했습니다. 그는 미국의 규제가 오히려 역효과를 내어 중국의 기술 자립도만 높였다고 주장하며 반도체 업계에 큰 파장을 일으키고 있어요.
![]() |
젠슨 황의 대폭로 "美 대중 AI칩 규제는 완전한 실패... 중국 기술력만 키워줬다" |
"수출 통제는 실패했다" 전격 발언의 내막
"수출 통제는 실패했다. 중국 기업들은 매우 유능하고 동기부여가 강하다. 미국이 막으면 현지 기업이 그 자리를 대신할 뿐이다."
젠슨 황 엔비디아 CEO는 5월 21일(현지시간) 대만 타이베이에서 열린 글로벌 미디어 Q&A에서 이렇게 작심 발언을 했습니다. 그가 이런 발언을 한 이유가 뭘까요? 바로 미국 정부가 중국에 대한 AI칩 수출을 엄격하게 규제하면서 엔비디아가 실질적인 피해를 입었기 때문이죠.
황 CEO의 주장: 엔비디아 중국 시장 점유율 변화
- 바이든 행정부 초기: 95%
- 규제 이후 현재: 50%
그것도 고성능 AI칩이 아닌 낮은 사양의 제품만 팔 수 있었죠.
황 CEO의 주장을 살펴보면 놀라운 사실들이 드러납니다. 엔비디아의 중국 시장 점유율은 바이든 행정부 초기 95%에 달했지만, 규제 이후 현재는 겨우 50%로 급감했습니다. 그것도 고성능 AI칩이 아닌 낮은 사양의 제품만 팔 수 있었죠.
막대한 손실과 시장 기회 상실의 현실
젠슨 황은 구체적인 손실 규모도 밝혔습니다. 그에 따르면, 엔비디아는 1분기에만 약 55억 달러 (약 7조 6000억원)의 손실을 봤다고 합니다. 이게 얼마나 큰 금액인지 아세요? 일부 반도체 회사의 연간 매출에 맞먹는 규모라고 합니다.
H20 칩 사태: 준비된 칩 전량 손실 처리 위기!
H20은 엔비디아가 미국의 수출 통제 기준에 맞춰 중국 시장을 위해 특별히 설계한 저사양 AI칩이었습니다. 그런데 트럼프 행정부가 최근 이마저도 제한하면서 엔비디아는 준비했던 칩들을 모두 손실 처리해야 하는 상황에 처했죠.
이런 규제로 인해 엔비디아가 잃은 건 당장의 매출뿐만이 아닙니다. 젠슨 황은 "중국은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컴퓨팅 시장이며 내년 AI 시장은 전체 500억 달러 규모로 예상된다"면서 "이는 엄청난 기회고 놓치기 아깝다"고 아쉬움을 드러냈습니다. 2026년이면 약 70조원 규모의 시장을 잃게 된다는 말이죠!
중국의 기술 독립, 가속 페달 밟다
가장 아이러니한 점은 미국의 규제가 오히려 중국의 기술 자립을 가속화했다는 사실입니다.
젠슨 황은 "수출 통제로 인해 중국은 자체 AI 칩 개발에 더 많은 자원과 정부 지원을 쏟아붓게 됐다"며 "현지 기업들은 매우 유능하고 동기부여가 강하다. 이젠 미국만이 AI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는 생각은 설득력을 잃었다"고 강조했습니다.
실제로 화웨이 등 중국 기업들은 엔비디아의 빈자리를 빠르게 메우고 있으며, 중국 정부도 자국산 칩 사용을 강력히 독려하고 있습니다. 황 CEO에 따르면 중국 AI 연구자들이 엔비디아 칩이 없으면 자국의 차선책을 사용할 것이라고 합니다. 그러니까 결국 미국이 엔비디아의 발목을 잡았을 뿐, 중국의 AI 발전은 막지 못했다는 거죠.
중국 기술 자립 가속화!
미국 규제 → 중국 자체 AI 칩 개발 투자 확대 → 화웨이 등 현지 기업 성장!
미중 AI 패권 경쟁, 어디로 향할까?
이런 상황에서 미국과 중국의 기술 패권 경쟁은 더욱 심화될 전망입니다. 젠슨 황이 지적한 것처럼, 미국의 규제 정책이 오히려 중국의 자체 기술 개발을 촉진하고 미국 기업의 경쟁력을 약화시키는 역효과를 낳고 있는 상황입니다.
주목할 부분: 황 CEO의 주장 "수출을 막을 게 아니라 기술 확산을 통해 경쟁에서 앞서야 한다". 이 내용은 이익도 이익이지만, 글로벌 기술 경쟁에서 미국이 취해야 할 전략적 방향을 제시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현재 미국 정부의 정책은 엔비디아와 같은 미국 기업들을 글로벌 경쟁에서 불리한 위치에 놓이게 하고 있습니다. 중국은 자체 반도체 기술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으며, 머지않아 미국 기술에 의존하지 않는 AI 생태계를 구축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산업계의 반응과 향후 전망
젠슨 황의 이번 발언은 산업계에 큰 반향을 일으키고 있습니다. 특히 그가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을 직접적으로 비판한 점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황해진 CEO는 중국 시장에서 다시 경쟁할 수 있도록 미국 정부의 정책 변화를 기대한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나 그는 H20보다 성능을 더 낮춘 버전을 출시할 가능성에 대해서는 "현재의 H20이나 호퍼 아키텍처는 더 이상 성능을 낮출 방법이 없다"며 "그렇게 되면 시장에서 쓸모없는 제품이 된다"고 선을 그었습니다.
향후 전망은?
- 미국 정부, 산업계 목소리 수용할까?
- 미중 기술 패권 경쟁의 새로운 국면은?
- 확실한 점: 현재 규제는 美 기업에 타격, 中 기술 자립은 가속화.
앞으로 미국 정부가 이러한 산업계의 목소리를 어떻게 받아들일지, 그리고 미중 간 기술 패권 경쟁이 어떤 방향으로 전개될지 귀추가 주목됩니다. 한 가지 확실한 것은 현재의 규제 정책이 미국 기업들에게는 큰 타격을 주고 있으며, 중국의 기술 자립은 오히려 가속화되고 있다는 점입니다.
AMD 에픽 4005 시리즈 출시 중소기업 서버 시장의 새로운 선택
마치며
젠슨 황의 이번 발언은 단순히 한 기업의 CEO가 자사 이익을 위해 한 주장으로만 볼 수 없습니다. 이는 기술 패권을 둘러싼 국가 간 경쟁에서 규제와 혁신 사이의 딜레마를 보여주는 중요한 사례입니다.
미국은 안보를 이유로 기술 유출을 막으려 하지만, 그 결과 오히려 중국의 자체 기술 개발을 촉진하고 미국 기업의 글로벌 경쟁력을 약화시키는 역설적 상황이 벌어지고 있습니다. 이는 기술 패권 경쟁에서 단순한 규제가 아닌 더 정교한 전략이 필요함을 시사합니다.
앞으로 미국과 중국 간의 기술 경쟁이 어떻게 전개될지, 그리고 엔비디아와 같은 글로벌 기업들이 이 속에서 어떤 전략을 취할지 지켜볼 필요가 있습니다. 결국 누가 AI 시대의 주도권을 쥐게 될지는 규제의 효과가 아닌 혁신의 속도에 달려있을지도 모르겠습니다.
우리나라 반도체 산업 입장에서도 미중 기술 패권 경쟁의 흐름을 면밀히 파악하고, 그 속에서 기회를 찾는 전략적 접근이 필요한 시점입니다.
단순히 한쪽에 편승하기보다는 독자적인 기술 경쟁력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 것입니다.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