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바다
복지, 지원금, 환급금, 대출, 보험, 정부정책, 아파트분양 정보, 자동차, 렌트, 카드, 건강정보

트럼프 감세안에 뿔난 채권시장, 미국 증시까지 덮쳤다

트럼프 감세안에 뿔난 채권시장, 미국 증시까지 덮쳤다. 트럼프 대통령의 감세 법안이 하원을 겨우 1표 차이로 통과했는데, 정작 시장은 완전 반대로 반응했거든요. 국채 금리는 하늘 높은 줄 모르고 치솟았고, 뉴욕 3대 지수는 14일 만에 모두 동반 하락했습니다

 

어제(21일) 미국 증시에서 뭔가 심상치 않은 일이 벌어졌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감세 법안이 하원을 겨우 1표 차이로 통과했는데, 정작 시장은 완전 반대로 반응했거든요. 국채 금리는 하늘 높은 줄 모르고 치솟았고, 뉴욕 3대 지수는 14일 만에 모두 동반 하락했습니다. 도대체 무슨 일이 일어난 걸까요?

트럼프 감세안에 뿔난 채권시장, 미국 증시까지 덮쳤다
트럼프 감세안에 뿔난 채권시장, 미국 증시까지 덮쳤다


하원 통과했는데 왜 시장이 이상해?

보통 감세 법안이 통과되면 기업들 좋아하고 주식시장도 올라가는 게 맞잖아요? 그런데 이번엔 완전 반대 상황이 벌어졌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직접 "크고 아름다운 하나의 법안"이라고 이름 붙인 이 메가 법안이 22일 하원에서 찬성 215표, 반대 214표로 가까스로 통과됐어요. 그런데 문제는 이 법안이 통과되면 미국 재정적자가 앞으로 10년간 무려 3조 8천억 달러나 늘어날 거라는 전망이 나왔다는 거죠.

예상 재정적자 증가 규모

  • 향후 10년 간: 3조 8천억 달러
  • 우리나라 GDP의: 약 2배 수준

이거 진짜 미친 수준입니다.

국채 시장에서 일어난 '반란'

그래서 어제 오후 미국 재무부가 20년물 국채 입찰 결과를 발표하자마자 시장이 완전히 뒤집어졌어요. 투자자들이 "아니, 이렇게 돈을 펑펑 쓸 거면 이자를 더 내놔!"라고 한 거죠.

📊 치솟는 국채 금리 📊

  • 미국 20년물 국채 금리: 5.047% (폭등!)
  • 미국 30년물 국채 금리: 5% 선 돌파 (위험 신호!)
  • 일본 30년물 국채 금리: 3.185% (사상 최고치 경신!)

미국 국채는 지금까지 세계에서 가장 안전한 투자처로 여겨져 왔습니다. 그런데 이제 투자자들이 "미국도 믿을 게 못 된다"고 등을 돌리고 있는 거예요.

더 웃긴 건 일본도 비슷한 상황이라는 점입니다. 21일 일본 30년물 국채 금리도 3.185%까지 올라가면서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어요. 세계 1, 2위 안전자산이라는 미국과 일본 국채가 동시에 이런 일을 당하고 있으니... 정말 심상치 않죠.

트럼프 경제 정책 논란 오소프 의원의 날카로운 분석 알아보기

증시도 덩달아 휘청

국채 시장이 이렇게 요동치니까 주식시장도 가만히 있을 수가 없었죠. 뉴욕 3대 지수가 모두 하락했는데.

📉 뉴욕 증시 동반 하락 📉

  • 다우존스: 0.27% 하락
  • S&P 500: 0.39% 하락
  • 나스닥: 0.38% 하락

별거 아닌 것처럼 보이실 수도 있는데, 이게 14일 만의 동반 하락이에요. 그동안 계속 올라가기만 하던 미국 증시가 갑자기 브레이크를 밟은 거죠.

특히 빅테크 주식들이 많이 빠졌어요. 테슬라만 0.51% 올랐고, 나머지 매그니피센트7은 모두 하락했습니다. 아마존알파벳은 1% 넘게 떨어졌고요.

블록체인과 AI의 만남, 제시아 web3 AI에이전트 플로우 공개

무디스 신용등급 강등이 결정타

사실 이런 상황의 배경에는 지난 16일 무디스가 미국 국가신용등급을 강등한 사건이 있어요. 세계 3대 신용평가사 중 하나인 무디스가 "미국 재정 상태가 심각하다"고 공식적으로 인정한 거죠.

🚨 무디스 경고, 심각한 재정 상태 🚨

  • 미국 현재 부채: GDP의 124%
  • 지난해 재정적자: GDP의 6% 초과 (평상시 전례 없는 수준)

미국이 지금 GDP의 124%에 달하는 부채를 지고 있는 상황에서, 또 3조 8천억 달러를 추가로 빌려 쓰겠다고 하니까 투자자들이 "이거 진짜 괜찮나?" 하고 의심하기 시작한 거예요.

더군다나 지난해 미국 재정적자가 GDP의 6%를 넘었는데, 이건 전쟁이나 금융위기가 아닌 평상시로는 전례 없는 수준이라고 하네요. 그러니까 투자자들이 불안해할 만도 하죠.

달바글로벌 상장 첫날 66% 폭등, 이거 진짜 대박 아닌가요?

앞으로 어떻게 될까?

솔직히 말해서 상황이 그리 녹록하지 않아 보입니다. 트럼프 감세 법안이 상원에서도 통과될지는 미지수예요. 하원에서도 공화당 의원 2명이 반대표를 던졌는데, 상원에서는 더 많은 반대가 예상되거든요.

하지만 설령 상원에서 막힌다고 해도, 이미 시장에는 "미국 재정 상태가 심각하다"는 인식이 퍼져버렸어요. 그동안 무작정 믿고 있던 미국의 안전자산 지위가 흔들리기 시작한 거죠.

게다가 관세 정책까지 겹치면서 인플레이션 우려도 커지고 있고요. 연준이 금리를 내리기는커녕 다시 올려야 할 상황이 올 수도 있다는 얘기들이 나오고 있습니다.

투자자 입장에서는 정말 고민이 많을 것 같아요. 그동안 안전하다고 여겨졌던 미국 국채도 믿을 수 없고, 주식시장도 불안정하고... 앞으로 어디에 돈을 넣어야 할지 모르겠다는 분들이 많으실 거예요.

하지만 이런 때일수록 성급한 판단보다는 상황을 차분히 지켜보는 게 중요할 것 같습니다. 결국 시장은 펀더멘털로 돌아가게 되어 있으니까요.

이 글은 투자 조언이 아니며 개인적인 생각과 정보 제공 목적으로만 작성되었습니다. 암호화폐와 주식 투자는 높은 위험을 수반하므로 반드시 본인의 판단과 책임하에 투자하시기 바랍니다.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