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외환시장이 진짜 미쳐 돌아가고 있어요. 그저께(5월 22일) 아침에요 원-달러 환율이 1377원으로 시작해서 한때 1373원까지 떨어졌다는 거예요. 이게 얼마나 큰 변화냐면, 지난해 11월 이후 6개월 만에 1370원대에 진입한 거라고 하네요.
솔직히 말해서 이런 급락은 하루아침에 일어나는 게 아니잖아요? 뭔가 큰 이슈가 있었던 거죠. 그래서 오늘은 이 상황을 한번 알아보려고 합니다.
원-달러 환율 급락 흐름 (5/22 기준)
※ 지난해 11월 이후 6개월 만에 1370원대 진입
![]() |
원-달러 환율 1370원대 급락, 트럼프가 또 한번 아시아를 뒤흔들고 있다 |
한미 환율 협상, 이게 진짜 원인일까?
가장 큰 화제는 한미 환율 협상 소식이었어요. 5월 21일 저녁에 "미국이 한국에 원화 절상을 요구했다"는 보도가 나오자마자 외환시장이 완전히 뒤집어진 거예요. 야간 거래에서는 환율이 1368.9원까지 떨어지기도 했다고 하니, 정말 어마어마한 변동이었죠.
기획재정부에서는 급하게 진화에 나섰다는데요. "구체적으로 정해진 내용은 전혀 없다"면서 "협의 과정에 있을 뿐"이라고 했는데... 음, 아무래도 시장이 너무 민감하게 반응한 것 같아요. 하지만 불 난 데 물 뿌리기식 해명이었다는 생각이 들어요.
🗣️ 물밑 협상은 이미 진행 중?
실제로 최지영 기재부 국제경제관리관과 로버트 캐프로스 미 재무부 국제차관보가 지난 5일 이탈리아 밀라노에서 만나서 환율 관련 실무 협의를 했거든요. ADB 연차총회 때였는데, 그 이후로 계속 물밑 협상이 이어지고 있다는 얘기가 나오고 있어요.
트럼프의 아시아 흔들기, 이번엔 환율 타겟
더 무서운 건 트럼프 행정부가 관세에 이어 이제 환율로 아시아를 흔들기 시작했다는 점이에요. 한국뿐만 아니라 일본, 대만까지 모두 타겟이 되고 있거든요.
이달 초에 대만이 먼저 당했습니다. 미국이 대만달러 절상을 요구했다는 소식에 대만달러가 이틀 만에 10%나 급등했다니까요. 미쳤죠? 엔화도 덩달아 올라서 145.70엔대까지 떨어지기도 했고요.
🎯 트럼프의 '강달러' 반대론
트럼프는 원래 미국 제조업 강화를 위해서는 달러 약세가 바람직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이에요. 강달러는 미국 제품의 해외 경쟁력을 떨어뜨리고, 수입품 수요만 늘려서 무역적자를 키우거든요. 그래서 무역적자 줄이려고 관세 때렸는데, 이제 환율까지 손대기 시작한 거죠.
달러 약세의 또 다른 이유들
환율 협상 소식 말고도 달러 약세를 만드는 요인들이 몇 개 더 있습니다.
- ① 무디스의 미국 신용등급 강등 충격이 아직도 이어지고 있어요. 미국도 이제 완벽한 나라가 아니라는 인식이 퍼지고 있는 거죠.
- ② 트럼프의 감세 정책이 미국 재정적자 우려를 높이고 있어요. 간밤에 미국채 20년물 입찰이 부진했다는 소식도 나왔고요. 달러의 안전자산 지위가 흔들리고 있는 거예요.
- ③ 아시아 투자자들이 그동안 달러에 너무 올인해 있었던 것도 문제였어요. '미국 예외주의'에 빠져서 환 헤지 없이 미국 자산에만 투자를 늘려왔거든요. 대만 생명보험사들이 최근 10년간 미국 자산에 7000억 달러(약 978조 원)를 투자했다는 얘기도 있어요. 어마어마하죠?
환율 하락, 우리에게는 양날의 검
그래서 환율이 떨어지면 우리에게는 어떤 영향이 있을까요? 딱히 좋다거나 나쁘다고 할 수 없는데요. 양날의 검이거든요.
👍 좋은 점들
- ✔ 수입물가가 싸져서 물가 안정에 도움이 돼요
- ✔ 국내 기업들이 외채 갚기가 수월해져요
- ✔ 정유사 같은 곳들은 수익이 늘어나요 (환율 10원 내릴 때마다 순이익 100억 원 증가)
👎 나쁜 점들
- ✖ 수출 기업들은 채산성이 악화돼요
- ✖ 외국인 투자자들이 돈을 빼갈 가능성이 커져요
- ✖ 수출 둔화로 경제 성장에 부담이 될 수 있어요
실제로 환율이 급락하면서 외국인들이 주식시장에서 1조원 넘게 빼간 상황이에요. 더 이상 환차익 기대도 크지 않다 보니 손 털고 나갈 가능성이 높아진 거죠.
앞으로 어떻게 될까?
당분간은 변동성이 계속될 것 같아요. 미국이 아시아 국가들과 협상을 이어가야 하는 상황이니까요. 일본 재무장관도 G7 재무장관 회의에서 미국과 환율 문제를 논의할 예정이라고 했거든요.
🔮 전문가 전망
전문가들은 연내 원-달러 환율이 1300원대까지 갈 수도 있다고 전망하고 있어요. 지금 1370원대인데 거기서 70원 더 떨어진다는 얘기죠. 물론 확실한 건 아무것도 없어요. 환율은 워낙 변수가 많거든요.
한 가지 확실한 건 트럼프가 아직 본격적으로 시작도 안 했다는 점이에요. 앞으로 4년 동안 이런 식으로 계속 아시아를 흔들어댈 거라는 게 더 무서운 얘기죠.
우리가 알아둬야 할 것들
환율 변동이 이렇게 심할 때는 개인도 좀 신경 써야 해요. 특히 해외 투자하고 있거나 외화 예금 있는 분들은 말이죠.
- ⚠️ 지금 환율이 떨어졌다고 해서 무작정 달러를 사는 것도 위험해요. 트럼프가 정말로 달러 약세 정책을 밀어붙인다면 더 떨어질 수도 있거든요.
- ✅ 반대로 수입 물가 안정으로 일반 소비자들에게는 좋은 소식일 수도 있어요. 기름값이나 수입 농산물 가격이 좀 더 안정될 수 있거든요.
요즘 글로벌 경제가 워낙 복잡해서 하루하루가 다르게 돌아가고 있어요. 환율만 봐도 이렇게 급변하는데, 다른 분야는 오죽할까요? 그래도 기본적인 흐름은 이해하고 있어야 우리 생활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할 수 있겠죠.
앞으로 트럼프의 행보를 계속 지켜봐야겠어요. 이 양반이 또 무슨 폭탄을 터뜨릴지 모르니까요.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