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바다
복지, 지원금, 환급금, 대출, 보험, 정부정책, 아파트분양 정보, 자동차, 렌트, 카드, 건강정보

리가켐 바이오 주가 최신정보와 기업 동향 분석

리가켐 바이오 주가 최신정보와 기업 동향 분석. 먼저 가장 궁금해하실 리가켐 바이오 주가부터 살펴보겠습니다. 최근 리가켐 바이오 주가는 108,200원을 기록하며 전일 대비 3,200원(3.05%) 상승 마감했습니다. 거래량도 17만 주를 넘어서며 시장의 관심을 보여주

 

요즘 주식 시장, 특히 바이오 분야에 대한 관심이 정말 뜨거운데요. 그중에서도 많은 분이 주목하고 계신 기업이 있죠. 바로 리가켐 바이오사이언스(141080)입니다. 최근 주가 움직임도 활발하고, 여러 소식도 들려오면서 투자자들의 이목을 끌고 있는데요. 그래서 오늘은 리가켐 바이오의 최신 주가 정보부터 회사의 핵심 내용까지, 여러분이 궁금해하실 만한 정보들을 알기 쉽게 풀어보려고 합니다.

리가켐 바이오 주가 최신정보와 기업 동향 분석
리가켐 바이오 주가 최신정보와 기업 동향 분석


리가켐 바이오 주가 최근 흐름 한눈에 보기 📊

먼저 가장 궁금해하실 리가켐 바이오 주가부터 살펴보겠습니다. 최근 리가켐 바이오 주가는 108,200원을 기록하며 전일 대비 3,200원(3.05%) 상승 마감했습니다. 거래량도 17만 주를 넘어서며 시장의 관심을 보여주었죠.

하지만 주가라는 것이 늘 상승만 하는 것은 아니잖아요? 지난 1년간 리가켐 바이오 주가는 최저 61,900원에서 최고 140,000원까지 움직이며 꽤 넓은 변동폭을 보여줬습니다. 최근 한 달 수익률은 14.74%로 좋은 흐름을 보였지만, 3개월 전과 비교하면 -14.47%로 조정을 받는 모습도 나타났습니다. 🤔

최근 한 달간 14% 이상 상승했지만, 3개월 기준으로는 조정을 받는 등 변동성을 보이는 만큼 투자 시 유의가 필요해 보입니다.

최근 1주일 주가 추이

날짜 시가 고가 저가 종가 거래량 거래대금(원)
2025-04-24 112,500 114,600 111,400 111,500 180,086 20,341,433,100
2025-04-27 110,300 110,600 103,000 105,200 460,739 48,726,397,700
2025-04-28 106,500 109,900 106,000 109,100 211,939 22,820,558,900
2025-04-29 108,000 109,900 104,200 105,000 195,303 20,738,803,250
2025-05-01 104,000 108,400 103,300 108,200 174,751 18,632,451,250
2025-05-02 108,200 - - 108,200 174,751 18,632,451,250

*최근 1주일 주가 추이

오리온 품에 안긴 리가켐 바이오 어떤 변화가?

리가켐 바이오를 이야기할 때 빼놓을 수 없는 큰 변화가 있었죠. 바로 2024년 1월, 제과 기업으로 유명한 오리온 그룹이 리가켐 바이오의 최대주주가 된 사건입니다. 오리온은 약 5,500억 원에서 5,848억 원을 투자해 지분 25.73%를 확보했습니다. 현재는 오리온(팬 오리온 코프 리미티드 외 9인)이 29.66%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이 소식이 전해졌을 때, 사실 많은 분이 '제과 회사가 바이오 기업을?' 하고 의아하게 생각하셨을 수도 있어요. 하지만 오리온은 '바이오 분야는 잘 모르니, 이미 검증된 리가켐 바이오에 투자하고 성장을 최대한 지원하겠다'는 의지를 밝혔고, 특히 리가켐 바이오의 자율 경영을 확실히 보장하겠다고 약속했습니다.

오리온의 든든한 자금 지원 덕분에 리가켐 바이오는 시장 냉각기에도 흔들림 없이 연구개발(R&D)에 박차를 가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실제로 리가켐 바이오 관계자는 오리온 투자 이후 가장 큰 변화로 공격적인 연구개발(R&D) 투자가 가능해진 점을 꼽으며, 연구소에서 검토하는 프로젝트 수가 수십 개로 늘어났다고 밝혔습니다. 오리온 인수 당시 주당 5만 원대에 머물던 주가가 1년 만에 11만 원을 넘어서며 2배 가까이 상승한 것도 이러한 긍정적인 변화와 기대감이 반영된 결과라고 볼 수 있겠죠.

ADC 기술력 어디까지 왔나? AACR 발표 핵심

리가켐 바이오의 핵심 경쟁력은 바로 항체-약물 복합체(ADC, Antibody-Drug Conjugate) 기술입니다. ADC는 항체가 특정 암세포를 찾아가 붙으면, 함께 붙어있던 약물이 암세포를 공격하는 방식의 차세대 항암 기술인데요. 리가켐 바이오는 '콘쥬올(ConjuAll)'이라는 자체 ADC 플랫폼 기술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이 기술은 기존 약물보다 효능과 안정성이 뛰어나다는 평가를 받으며 세계적인 ADC 시상식에서 여러 차례 '최고 ADC 플랫폼 기술상'을 수상하기도 했습니다.

최근에는 세계적인 암 연구 학회인 미국 암연구학회(AACR 2025)가 4월 25일부터 30일까지 미국 시카고에서 열렸는데요. 리가켐 바이오는 이 자리에서 자사의 면역항암제 후보물질 'LCB39'를 포함해 총 5건의 중요한 전임상 연구 결과를 발표하며 기술력을 다시 한번 입증했습니다.

특히 면역세포를 활성화하는 단백질 'STING'에 작용하는 LCB39는 기존 STING 작용제의 부작용 문제를 개선하고 효능과 안전성을 확보했다는 평가를 받으며 큰 주목을 받았습니다. 리가켐 바이오는 LCB39를 2026년 초 글로벌 임상 시험 시작을 목표로 개발 중입니다. 또한, 기술이전 파트너사인 소티오(Sotio)가 개발 중인 LRRC15 표적 ADC 'SOT106' 등 파트너사들의 연구 성과도 함께 발표되어 리가켐 바이오 플랫폼 기술의 가치를 더욱 높였습니다.

세계적인 암 학회 AACR에서 다수의 연구 성과를 발표하며 리가켐 바이오의 ADC 플랫폼 기술 가치가 더욱 부각되고 있습니다.

AACR 2025 주목받은 주요 파이프라인

후보물질 종류/타겟 특징 및 현황 발표 내용 (AACR 2025)
LCB39 STING 작용제(Agonist) 면역항암제, 부작용 개선 및 효능/안전성 확보, Best-in-class 가능성, 2026년 초 임상 목표 전임상 결과 발표
SOT106 LRRC15 ADC 파트너사 소티오(Sotio) 개발, 리가켐 ADC 플랫폼 적용 구두 발표 선정, 연구 결과
IKS04 CA242 ADC 파트너사 익수다(Iksuda) 개발, 리가켐 ADC 플랫폼 적용 포스터 발표, 연구 결과
LCB22A O-결합 글라이코실화 ADC 미국 Go Therapeutics 공동개발, 암세포 당화 패턴 인식, 차세대 ADC 기술 적용 전임상 결과 발표

기술수출 성과와 재무 현황 살펴보기

리가켐 바이오의 기술력은 실제 대규모 기술수출 계약으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2023년 12월에는 글로벌 제약사 얀센(Janssen)과 고형암 치료제 후보물질 'LCB84'에 대한 기술이전 계약을 체결하며 계약금만 1억 달러(약 1,300억 원)를 받았습니다. 이 계약금은 작년부터 올해까지 나뉘어 매출로 인식되면서 리가켐 바이오의 실적 개선에 크게 기여하고 있습니다.

또한, 2023년 10월에는 일본 오노약품공업과 최대 7억 달러(약 9,400억 원) 규모의 기술이전 계약을 체결하기도 했습니다. 이 외에도 소티오(Sotio), 익수다(Iksuda), 시스톤(Cstone Pharmaceuticals), 넥스트큐어(NextCure) 등 다수의 글로벌 기업들과 파트너십을 맺고 공동 연구 및 개발을 진행 중입니다.

이런 기술수출 성과 덕분에 리가켐 바이오의 재무 상황도 개선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2025년 1분기 매출액은 310억 원으로, 전년 동기 76억 원 대비 크게 증가했습니다. 물론, 신약 개발 기업의 특성상 아직 영업이익은 적자 상태입니다. 2023년 연간 기준으로는 808억 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했죠. 하지만 이는 미래 성장을 위한 활발한 연구개발 투자 과정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기술료 수입이 본격화되면서 재무 구조는 점차 개선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김용주 리가켐 바이오 대표 역시 올해를 기점으로 기술료 수취가 본격화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언급한 바 있습니다.

얀센, 오노 등 빅파마와의 대규모 기술이전 계약은 리가켐 바이오의 기술력을 입증하며 실질적인 매출 성장을 견인하고 있습니다.

주요 기술이전 계약 현황

파트너사 후보물질/기술 계약 시점 계약 규모 (최대) 비고
얀센(Janssen) LCB84 2023년 12월 총 17억 달러 + 로열티 계약금 1억 달러 수령
오노약품공업(Ono) ADC 후보물질 2023년 10월 최대 7억 달러 (약 9400억원) 계약금 일부 수익 인식 중
소티오(Sotio) SOT106 등 - - ADC 플랫폼 기술이전
익수다(Iksuda) IKS04 등 - - ADC 플랫폼 기술이전
시스톤(Cstone) ROR1 ADC - - 임상 1b상 진행 중
넥스트큐어(NextCure) LNCB74 2025년 1월 - 임상 1상 개시

*참고: 계약 규모는 총 마일스톤 포함 금액이며, 일부 계약의 상세 조건은 비공개일 수 있습니다.

투자자 동향과 시장 평가는? 🧐

그렇다면 시장 참여자들은 리가켐 바이오를 어떻게 보고 있을까요? 최근 투자자별 매매 동향을 보면 흥미로운 점이 발견됩니다. 2025년 5월 2일 기준으로 외국인 투자자들은 4만 5천 주 이상 순매수했고, 기관 투자자들도 2만 2천 주 이상 순매수한 반면, 개인 투자자들은 6만 7천 주 이상 순매도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최근 누적 순매수량을 봐도 외국인(약 14.8만 주)과 기관(약 1만 주)은 매수 우위를 보이는 반면, 개인(-15.9만 주)은 매도 우위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외국인 지분율도 11%를 넘어섰습니다.

외국인과 기관 투자자들의 꾸준한 관심과 높은 시장 평가는 리가켐 바이오의 성장 잠재력에 대한 기대를 반영합니다.

증권사 분석가들은 리가켐 바이오의 목표주가를 평균 155,000원으로 제시하고 있어 현재 주가 대비 상승 여력이 있다고 보고 있습니다. 시가총액은 약 3조 9천억 원으로 코스닥 시장 및 동종 업계 내에서도 상위권에 속합니다. 물론 주가수익비율(PER) 같은 지표는 현재 순이익 규모 대비 매우 높게 나타나는데, 이는 현재의 이익보다는 미래 성장성에 대한 기대감이 주가에 크게 반영되어 있음을 의미할수도 있겠네요.

최근 5거래일 투자자별 순매수량

날짜 개인 순매수량 기관 순매수량 외국인 순매수량
2025-04-28 -8,511 +13,221 -4,710
2025-04-29 -67,829 +39,026 +28,803
2025-04-30 +10,386 -29,402 +19,016
2025-05-01 (데이터 없음) (데이터 없음) (데이터 없음)
2025-05-02 -67,146 +22,100 +45,046

*최근 5거래일 투자자별 순매수량

마무리하며

지금까지 리가켐 바이오의 최신 주가 정보부터 오리온 인수 효과, 핵심 기술인 ADC와 AACR 발표 내용, 기술수출 성과 및 재무 현황, 그리고 투자자 동향까지 다각도로 살펴보았습니다.

정리해보면, 리가켐 바이오는 탄탄한 ADC 기술력을 바탕으로 오리온이라는 든든한 지원군을 얻어 연구개발에 속도를 내고 있으며, 글로벌 빅파마들과의 기술수출을 통해 실질적인 성과를 만들어가고 있는 기업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물론 바이오 기업 투자는 높은 기대 수익률만큼이나 변동성도 크고, 연구개발 결과에 따라 주가 등락폭이 클 수 있다는 점을 항상 기억해야 합니다. 특히 리가켐 바이오처럼 미래 가치가 주가에 많이 반영된 경우, 시장 상황이나 예기치 못한 변수에 따라 주가가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습니다.

오늘 제가 드린 정보가 리가켐 바이오라는 기업을 이해하시는 데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하지만 투자는 언제나 본인의 신중한 판단과 책임 하에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 잊지 마세요! 🙏

FAQ


Q1. 리가켐 바이오의 최근 주가 동향은 어떤가요?

최근 리가켐 바이오 주가는 108,200원으로 마감하며 전일 대비 3.05% 상승했습니다. 지난 1년간 61,900원에서 140,000원 사이에서 변동성을 보였으며, 최근 한 달간은 14% 이상 상승했지만 3개월 기준으로는 조정을 받는 모습도 나타났습니다.

Q2. 오리온의 리가켐 바이오 인수는 어떤 영향을 주었나요?

2024년 1월 오리온 그룹이 최대주주가 되면서 리가켐 바이오는 안정적인 자금 지원을 확보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연구개발(R&D) 투자를 공격적으로 확대할 수 있게 되었으며, 오리온은 리가켐 바이오의 자율 경영을 보장하고 있습니다.

Q3. 리가켐 바이오의 핵심 기술 경쟁력은 무엇인가요?

리가켐 바이오의 핵심 경쟁력은 항체-약물 복합체(ADC) 플랫폼 기술인 '콘쥬올(ConjuAll)'입니다. 이 기술은 효능과 안정성이 뛰어나다는 평가를 받으며, 최근 미국 암연구학회(AACR)에서 LCB39 등 주요 파이프라인의 긍정적인 연구 결과를 발표하며 기술력을 입증했습니다.

Q4. 리가켐 바이오의 주요 기술수출 성과는 무엇인가요?

글로벌 제약사 얀센과는 'LCB84'에 대해 총 17억 달러 규모, 일본 오노약품공업과는 최대 7억 달러 규모의 기술이전 계약을 체결했습니다. 이러한 대규모 계약은 리가켐 바이오의 기술력을 입증하며 실질적인 매출 증대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Q5. 리가켐 바이오에 대한 시장의 평가는 어떤가요?

최근 외국인과 기관 투자자들이 순매수세를 보이며 긍정적인 관심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외국인 지분율도 11%를 넘어섰으며, 증권사들은 평균 목표주가를 155,000원으로 제시하며 성장 잠재력을 높게 평가하고 있습니다.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