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향사랑기부 혜택을 최신 규정으로 싹 정리했어요.
핵심만 먼저요: 연간 기부 상한 2,000만원, 10만원 전액 세액공제 + 초과분 16.5%, 특별재난지역은 33%… 그리고 답례품 최대 30%까지!
![]() |
| 2025 연말정산 고향사랑기부 10만원 전액공제 + 초과 16.5% vs 특별재난 33% 적용 기준, 어디까지 절세되나 |
> 고향사랑기부, 2025년 핵심 요약
- 누가/어디에? 개인만 가능(법인은 불가), 주민등록지 외 모든 지자체에 기부 가능.
- 한도(상향)? 1인 연 2,000만원(’25.1.1.부터, 종전 500만원 → 2,000만원).
- 세액공제율? ① 10만원까지 전액 ② 10만원 초과분 16.5% ③ 특별재난지역은 초과분 33%.
- 답례품? 기부액의 30% 이내 선택 가능.
- 세법 표기(참고)? 국세청 기준 10만원 이하는 ‘100/110’, 초과분은 15%(특별재난지역 30%)로 표기.
> 연말정산 처리, 자동으로 되나요?
- 간소화 자동 연동: 고향사랑 e음(공식 포털)에서 발급·보관되는 내역이 연말정산 간소화(홈택스)로 연계돼요. “기부확인증”은 e음에서도 확인 가능합니다.
- 공제 주체: 본인 기부분만 세액공제 가능(배우자·부양가족이 낸 고향사랑기부금은 불가). 이월공제도 불가예요.
> 숫자로 감 잡기 (체감효과 예시)
10만원 기부 (일반)
세액공제 10만원
답례품 3만원 상당
≈ ‘13만원 효과’
30만원 기부 (일반)
세액공제 133,000원
답례품 9만원
→ 체감 223,000원
100만원 기부 (특별재난지역)
세액공제 397,000원
답례품 30만원
→ 체감 697,000원
200만원 기부 (일반)
세액공제 413,500원
답례품 60만원
→ 체감 1,013,500원
※ 답례품은 현금이 아니므로 ‘체감효과’는 세액공제+답례품 가치를 합산해 이해용으로 적었어요. 실제 절세액은 세액공제액입니다.
> 2025년 바뀐 법령 포인트 (근거)
- 연간 상한 2,000만원 상향이 법률에 반영되어 2025-01-01부터 시행됩니다.
- 국세청 안내 표에서도 고향사랑기부금 세액공제 항목과 계산 방식이 확인돼요(10만원 이하는 100/110, 초과분 15%·특별재난 30%).
- 행안부 공식 안내에 특별재난지역 33%(지방소득세 포함), 3개월 내 기부분 적용, 답례품 30% 규정 등이 명확히 정리돼 있어요.
> 지금 (연말) 무엇부터 하면 좋을까?
- 한도·여력 체크: 올해 기부 누적이 있다면 2,000만원 이내인지 확인. (세액공제는 산출세액 한도 내에서 적용)
- 지역 선택: 주민등록지 ‘외’ 지자체만 가능. 특별재난지역 지정 여부도 확인(3개월 내 기부 시 33%).
- e음으로 진행: 고향사랑e음(정부 공식 포털)에서 간편/금융인증 로그인 → 기부 → 기부확인증 보관(간소화 자동 연동).
- 중복 규정 인지: 정치자금·우리사주·일반기부금과 달리, 고향사랑기부금은 본인 납부분만 공제 + 이월공제 불가.
> 자주 나오는 질문 5
- 내 주소지 지자체에도 기부되나요? → 안 돼요. 주소지 ‘외’ 지자체만.
- 배우자 명의로 기부하면 내 연말정산에서 공제? → 안 돼요. 본인 기부만 공제.
- 특별재난지역 33%는 언제부터? → ’25년 과세기간 기부부터, 선포일로부터 3개월 내 기부에 한해 적용.
- 답례품 한도? → 기부액의 30% 이내(지자체별 품목 다름).
- 간소화에 안 보이면? → e음 기부확인증 확인 후 필요시 홈택스 전자기부금영수증 발급·요청으로 보완.
> 숫자 더 깊게 (세액공제 계산 공식)
일반 지자체
세액공제액 = 10만원 + (기부액 − 10만원) × 16.5%
특별재난지역 (선포 3개월 내, ’25년 귀속부터)
세액공제액 = 10만원 + (기부액 − 10만원) × 33%
> 체크리스트 (오늘 기준 2025-11-10)
- 한도/타이밍: 2025-12-31까지 납부분이 ’25년 연말정산 반영.
- 증빙: e음의 기부확인증 확인(간소화 자동 연계), 필요 시 홈택스 전자기부금영수증으로 보완.
- 전략: ① 10만원은 무조건 전액 공제 + 답례품 30% ② 더 낼 땐 특별재난지역 33% 적용 기간을 노려 효율↑ ③ 이월공제 불가라서 연내 산출세액 범위 고려.
여기까지가 2025년 최신 제도 기준 ‘실전 가이드’예요.
여러분은 어느 지역에, 얼마가 가장 효율적이라고 보시나요?
저는 10만+α(특별재난 33% 기간) 전략이 체감이 크다고 보는데… 여러분 생각은 어떤가요?
연말정산, 고향사랑기부, 세액공제, 특별재난지역, 고향사랑e음, 답례품, 2천만원한도, 소득세, 지방소득세, 국세청, 행정안전부, 법제처, 연말정산간소화, 전자기부금영수증, 주민등록지외기부, 기부확인증, 답례품30퍼센트, 전액공제10만원, 세테크, 직장인재테크
출처(공식·최신 기준): 행정안전부 고향사랑기부제 안내, 국가법령정보센터(’25.1.1. 시행 개정), 국세청 안내, 고향사랑e음.


댓글 쓰기